석촌동 고분군
-
석촌동 고분군 출토 유리구슬의 용도와 기능실크로드와 유리 이야기 2022. 11. 17. 20:28
사람의 마음은 갈대라지요. 정말 그런가 봅니다. 유리기만 공부하던 제가 요즘 유리구슬에 자꾸만 눈이 갑니다. 참아보려 애써봤지만, 눈이 가는 걸 어찌하겠습니까. 당분간은 유리구슬을 주제로 도란도란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얼마 전, '서울 석촌동 고분군(사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덕에 조회수가 소폭 상승하여 룰루랄라 노래를 불렀습니다. 희한하게도 '석촌동 고분군'에서는 유리기는 보이지 않고 온통 유리구슬만 출토되었었죠. 왜일까요? '고고학'은 단순한 '역사 복원'을 넘어 '왜?'를 언급해야만 하는 학문입니다. 물론 그 결론은 현대인이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제시하는 하나의 가설일 뿐이지만 말이죠. 그럼 함께 생각해봅시다. 유리구슬... 한국 삼국시대의 유리구슬은 분명 '장신구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었습니..
-
[한성백제박물관] 석촌동 고분군 12호 널무덤 출토 유리구슬 목걸이실크로드와 유리 이야기 2022. 11. 15. 22:20
제가 예전에 썼던 '석촌동 고분군 1호 매장의례부 출토 유리구슬' 글의 조회수가 역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유입 경로를 보니 대부분 검색 포털 사이트를 통해 들어왔더군요. 이유가 뭔가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오늘 개최한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서울 석촌동 고분군(사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때문인 듯 했습니다. 오늘 올라온 기사나 여러 글들을 보면... '흑유계수호(黑釉鷄首壺)'를 주제로 한 글이 대부분입니다. ****** 여기서 '흑유계수호'란, '흑색 유약을 입힌 닭머리 모양 주둥이를 가진 병'을 지칭하는 전공 용어입니다. ****** 물론 흑유계수호가 중국과의 교류를 설명하는 중요한 자료일뿐더러, 유리보다 형식분류가 용이한 유물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유리를 전공해서 일까요.... 제 눈엔 석촌동 고분..